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다재다능 개발자 성장기 🚀

항해99 👩‍💻27일차 TIL 본문

항해99_6기_TIL

항해99 👩‍💻27일차 TIL

merrytang 2022. 4. 2. 16:59

🎉오늘의 한 일🎉

1. Node.js 심화강의 5-8 TestCode 강의를 수강하였다.

2. 유투브에서 자바스크립트 Class 개념을 찾아보고 공부하였다.  

3. 개인과제 blog에 로그인/회원가입 유효성검사 기능을 구현하였다.

 


🐣배운 점🐣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search() 함수

 

search() 함수는 문자열에서 조건 문자열을 찾아서 몇 번째 위치인지 확인을 해주는 함수이다. 첫번째로 매칭 되는 인덱스를 반환하게 되지만, 만약 찾지 못한다면 -1을 반환한다. 쉽게 말하자면 검색되는 문자열의 위치값을 반환하게 된다.

//search() 함수 사용방법
대상 문자열.search( 조건 문자열 )

// 예제 
   var str = "javascript search";
   var result = str.search("script");

   document.write("result : " + result + "<br>");
   
// 출력값
  result : 4

 

회원가입/로그인 유효성 검사 
  const re_id = /^[a-zA-Z0-9]{3,10}$/;
  const re_password = /^[a-zA-Z0-9]{4,30}$/;

    if (id.search(re_id) == -1) {
        res.status(412).send({
            errorMessage: "ID의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
        return;
    }
    if (password.search(re_password) == -1) {
        res.status(412).send({
            errorMessage: "패스워드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
        return;

변수에 id와 password의 정규식을 각각 담은 다음 search() 함수를 사용하여 유효성검사를 진행한다.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id와 password의 유형이 미리 정해놓은 정규식과 다르면 412번 statusCode와 유형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에러메세지를 반환한다. 

'항해99_6기_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29일차 TIL  (0) 2022.04.05
항해99 👩‍💻28일차 TIL /WIL  (0) 2022.04.03
항해99 👩‍💻26일차 TIL  (0) 2022.04.02
항해99 👩‍💻25일차 TIL  (0) 2022.03.31
항해99 👩‍💻24일차 TIL  (0)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