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다재다능 개발자 성장기 🚀

항해99 👩‍💻71일차 TIL 본문

항해99_6기_TIL

항해99 👩‍💻71일차 TIL

merrytang 2022. 5. 17. 19:28


🐣 Today I Learned 🐣

Linux 자주쓰는 명령어 

pwd

pwd는 Print Work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를 보여준다(사용자의 현재위치).

 

ls 

list segments의 약자로 파일과 디렉터리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디렉터리와 특정 파일의 내용도 제공한다.

 

cp(copy)

파일을 복사할 때 사용된다.

 

cp file1 file2 : file1을 file2라는 이름으로 복사

cp -f file1 file2 : 강제복사(file2라는 파일이 이미 있을 경우 강제로 기존 file2를 지우고 복사 진행) 

cp -r dir1 dir2 : 디렉터리 복사, 폴더 안에 모든 하위 경로와 파일드을 복사 

 

cd

현재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위치를 찾을때 사용된다.

 

cd[디렉터리 경로]: 이동하려는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 최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터리

cd .. :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

cd - : 이전 경로로 이동 

 

mkdir

디렉터리 생성

 

rm(Remove)

파일삭제

rmdir : remove direcrory의 약자로 빈 디렉터리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rm file1 : file1을 삭제

rm -f file1 : file1을 강제 삭제

rm -r dir : dir 디렉터리 삭제(디렉터리는 -r 옵션없이 삭제 불가)

 

cat 

새 파일을 작성하고 터미널에서 파일 내용을 출력해준다. 리다이렉션(">")를 사용하여 새로운 파일을 생성한다.

 

mv

파일을 이동할 때 사용된다.

 

redirection

화면의 출력 결과를 파일로 저장한다.

 

sudo

superuser do의 약자로 현재 계정에서 root 권한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한다.

 

chmod

시스템 파일 또는 객체의 엑세스 권한을 변경하거나 수정하는데 사용하는 명령어이다.

 

chown

chmod 명령과 유사하지만 엑세스 권한을 변경하는 대신 사용자가 파일 또는 디렉터리의 소유권을 변경할 수 있다. 

 

 

'항해99_6기_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해99 👩‍💻73일차 TIL  (0) 2022.05.19
항해99 👩‍💻72일차 TIL  (0) 2022.05.19
항해99 👩‍💻70일차 TIL /WIL  (0) 2022.05.17
항해99 👩‍💻69일차 TIL  (0) 2022.05.14
항해99 👩‍💻68일차 TIL  (0) 2022.0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