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14일차 TIL/WIL
🎉오늘의 한 일🎉
- Node.js 3주차 강의를 들으면서 데이터베이스와 MongoDB의 개념에 관해서 공부하였다.
- Robo3T를 설치하여 내 코드에서 MongoDB를 사용해보았다.
- 이번주부터 알고리즘 스터디를 시작하였는데, 매주 최소 2문제 이상 문제를 풀고 일요일 저녁 Git을 연동하여 알고리즘 문제를 업로드하기로 하였다. 오늘 29번부터 32번까지 4문제를 첫 개시하였다💪.
🐣 Today I Learned 🐣
⭐데이터베이스란 ?
- 데이터를 잘 저장하고 잘 찾기 위해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를 Database Management System(DBMS) 라고 부른다.
⭐ 데이터 베이스의 종류 2가지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Relational Database (RDB)
데이터 형식이 정해져 있고, 데이터 끼리 관계를 맺어 모순이 없는 데이터(무결성과 정합성이 높은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에 집중한 데이터베이스이다.
2)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Non-relational Database (NoSQL)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속하지 않는 모든 데이터베이스를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고 부른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형태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지만, 유연한 만큼 저장되는 데이터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신뢰할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최근 많은 스타트업에서 유연한 설계를 위해 많이 채택되는 데이터베이스 유형이다.
⭐ MongoDB란 ?
- 국내, 외 수많은 개발자들에게서 사용되고있는 가장 인기있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중 하나이다.
- 모든 데이터가 JSON 형태로 저장된다.
- 복잡한 구조를 쉽게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 스케일을 쉽게 줄이고 늘일 수있다.
⭐ 웹 서버와 DB서버의 관계
- 웹서버는 웹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와 기능을 제공한다.
- DB서버는 데이터를 최대한 성능 좋게 저장하고 DB클라이언트가 원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 결국 두가지 서버는 어떤것을 제공하냐만 다를 뿐, 기본 원칙은 비슷하다.
- 웹 서버는 DB서버를 이용하는 DB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 정리하면? 브라우저 ↔ 웹 서버 ↔ DB 서버
🍧느낀점🍧
어제 지인 결혼식에 다녀왔는데 날씨가 급 추워져서 덜덜거리며 밖에 돌아다니다가 집에 오니까 컨디션이 급 안좋아졌었다😢. 그런데 그 여파가 오늘까지 있는지 몸이 피곤해서 내 계획보다 공부를 못해서 속상했다 ㅠㅠ. 오늘은 12시에 따뜻하게 푹 자고 일어나서 내일부터 다시 화이팅 해야겠다!! 아쟛 !! 💪💪💪